신생아를 처음 키우는 부모라면 한 번쯤 겪는 고민이 있습니다. 바로 “아기가 분유(또는 모유)를 먹은 후 트림을 하지 않아요, 괜찮을까요?”라는 질문입니다. 작은 입으로 열심히 먹은 후, 꼭 안아 올려 등을 두드리거나 쓰다듬으며 ‘트림 타임’을 갖지만… 10분이 지나도, 15분이 지나도 아무런 소리가 없다면 초조해지는 게 당연합니다.
그럼 정말 신생아가 트림을 안 하면 문제가 되는 걸까요? 왜 트림을 안 하는 걸까요? 오늘은 이 궁금증에 대해 현실적이고 정확하게 풀어드리겠습니다.
1. 신생아에게 트림이 중요한 이유
신생아는 분유나 모유를 먹는 과정에서 공기를 함께 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빠르게 먹거나, 젖병의 기울기나 젖꼭지 사이즈가 맞지 않을 경우 공기를 더 많이 삼키게 됩니다.
이때 삼켜진 공기가 뱃속에 갇혀 있으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복부 팽만감
• 보챔과 짜증
• 수면 중 뒤척임
• 토하거나 분수토 현상
따라서 트림을 통해 이 공기를 배출해주는 것은 소화 불량을 막고, 아기의 편안함을 돕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2. 트림을 안 하는 이유는?
신생아가 트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닙니다. 아래와 같은 원인을 참고해보세요.
(1) 공기를 많이 삼키지 않은 경우
젖을 천천히 잘 먹거나, 모유수유처럼 공기 유입이 적은 수유 방식이라면 트림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아기가 굳이 트림하지 않아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2) 이미 눕기 전에 트림을 했거나, 방귀로 해결된 경우
간혹 트림은 안 했어도 가스를 방귀로 배출하는 아기들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따로 트림을 하지 않아도 속이 편할 수 있습니다.
(3) 트림 자세나 시간 부족
신생아는 아직 몸의 조절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트림을 유도하는 자세가 잘못되었거나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트림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성격이나 기질
의외로 아기의 기질에 따라 트림을 자주 하는 아기와 거의 하지 않는 아기가 있습니다. 잘 자고 잘 놀며 잘 싼다면 큰 문제는 아닙니다.
3. 트림 안 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
그렇다면 아기가 트림을 하지 않았을 때,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 ① 게우기 (역류)
가장 흔한 문제는 분유나 모유가 역류하는 현상입니다. 먹은 직후 눕히면 위에 남아 있는 공기가 분유와 함께 올라오면서 토하게 됩니다. 특히 수유 직후 바로 눕히면 토할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 ② 복부 팽만 및 불쾌감
배에 공기가 차면 더부룩하고 아프기 때문에 아기가 칭얼대거나 보채기 시작합니다. 심하면 잠을 잘 자지 못하고 끙끙거리기도 합니다.
✅ ③ 수면 방해
공기가 위에 남아 있으면 아기가 편안하게 수면에 들기 어렵습니다. 자다가 깨거나, 자주 깨는 수면 패턴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트림 잘 시키는 방법
트림을 잘 시키기 위해선 자세와 환경이 중요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추천합니다.
📌 1) 어깨에 안고 등 두드리기
가장 기본적인 자세입니다.
• 아기의 턱이 부모 어깨 위에 올라오게 안고
• 한 손은 아기 엉덩이를 받치고, 다른 손으로 등을 아래에서 위로 살살 두드리거나 쓸어줍니다.
📌 2) 무릎에 앉혀서 트림 유도
• 아기를 무릎에 앉히고, 몸을 약간 앞으로 숙이게 한 다음
• 손으로 턱을 받쳐서 등을 문지르듯 쓸어주기
→ 목을 잘 받쳐야 하며, 약간 구부정한 자세가 트림 유도에 효과적입니다.
📌 3) 엎드린 자세 (무릎 위나 팔에 엎드리기)
• 아기를 부모의 팔뚝 위나 무릎 위에 엎드리게 한 뒤
• 등을 부드럽게 쓸거나 두드립니다.
5. 트림 안 했을 때 대처법
트림이 안 나온다고 너무 오래 붙잡고 있으면 오히려 아기와 부모 모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음 팁을 참고해보세요.
• 20분 정도까지 시도해보고, 안 되면 편안히 눕혀주세요.
• 수유 직후엔 바로 눕히지 말고 최소 10~15분은 안고 있어주세요.
• 수유 중간에 잠깐 멈춰 트림을 시도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만약 자주 토하거나, 트림 없이 계속 보채는 일이 반복된다면 소아과에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드물게 역류성 식도염, 우유 단백 알레르기 등의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6.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한 가지
아기가 트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무조건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밤중 수유 후 트림을 유도하다가 아기가 깨버리면 부모도 힘들어집니다.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아기가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는지”입니다. 이 3가지를 충족하고 있다면, 트림이 조금 부족해도 괜찮습니다.
모든 아기는 다르고, 어떤 아기는 트림을 거의 하지 않아도 문제 없이 자라기도 합니다. 중요한 건 아기 몸의 신호를 잘 읽고, 적절히 대응하는 부모의 여유입니다.
신생아의 트림은 단순한 ‘가스 빼기’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아기의 편안한 소화와 수면을 돕고, 토하거나 보채는 불편함을 예방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트림이 잘 되지 않더라도 너무 불안해하지 마세요. 자세와 시간, 아기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됩니다. 처음은 누구나 서툽니다. 하지만 부모의 사랑과 관심은 어떤 전문가보다 강력한 육아 비법입니다.
'아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산 후 산후우울감 극복기, 솔직한 이야기 (0) | 2025.06.27 |
---|---|
신생아 수면교육,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할까? (0) | 2025.06.26 |
신생아 분유 vs 모유, 무엇이 정답일까? 현실 엄마의 솔직한 수유 이야기 (0) | 2025.06.24 |
아이가 용쓰면서 분유 먹는 이유 (0) | 2025.06.23 |
아이들 코피나는 원인과 해결방안!! (1) | 2025.06.19 |